[maven] 기본 설치 및 메이븐 프로젝트 만들기

2012-12-18

maven에 대해서 포스팅 하는 이유는 Java 의 빌드에 대해서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가장 jar에 대한 관리가 잘 되기 때문이라는 생각에서였다. 본 글은 이클립스 Juno 버전이 설치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진행하도록 하겠다. 기존의 이클립스가 있으신 분들이라면 Juno 버전을 따로 다운 받아서 해보시길 바란다. 

1. 마켓플레이스에서 다운 받기 

보시는 화면처럼 maven 이라고 검색을 하면 몇개의 메이븐 관련 플러그인들이 나오는데, 제일 위에 있는 m2eclipse-wtp : Maven Integration for Eclipse WTP(Incubation)을 사용하면 된다.  Install 을 누르면 자동적으로 설치될것이고, 이클립스를 한번 restart 할것이다. 

2. maven 프로젝트 만들기 

플러그인이 설치된 상태에서 늘 하던대로 New>Other>Maven Project를 아래처럼 누른다. 

그리고 나서 일단 기본적인 maven 프로젝트를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Create a simple project를 체크하도록 하자. 그리고 나서 Next. 

아래와 같이 정보를 입력하는데 세가지 용어에 대해서 알아보자. 그전에 하나의 artifact를 하나의 jar 라고 간편 생각해보자. 

1. Group Id : artifact 제작을 책임지는 개체, 조직, ex) com.ibm.devworks 2. Artifact Id : 실제 Artifact 이름, ex) HelloWorld 3. version : aritifact 버전,  mmm.nnn.bbb-qqqqqqq-dd 와 같다. 여기에서 mmm 은 메이저 버전 숫자, nnn 은 마이너 버전 숫자, bbb 는 버그 수정 레벨을 나타낸다. 가끔 qqqqq (수식어) 또는 dd (빌드 숫자)를 버전 넘버에 추가로 붙일 수 있다.

Finish를 누르면 maven 프로젝트가 생성된 것이다. 구조를 한번 보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자바프로젝트와 다른점이라면, Maven Dependencies 와 pom.xml 이라는 것이 생겼다는 것이다. pom.xml에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maven 항목이 있는데, 그 안에서 Add Dependency 를 선택하자. 구글의 json 파서인 Gson 라이브러리를 추가해보도록 하자. gson 이라고 입력한 결과 화면이다. 

검색된 결과 화면을 볼수 있을것이다. 가장 위에 있는 com.google.code.gson 을 선택해 보자. 선택을 하면 2가지가 바뀌는데 한가지는 pom.xml 을 열어보면 에 gson이 다음과 같이 걸려 있는것을 볼수가 있다. 또 한가지는 Maven Dependencies 에 gson-2.2.2.jar 가 다음과 같이 추가된 것을 볼 수가 있다. 즉, Maven 을 통해서 추가된 라이브러리는 maven 에 의해서 관리가 되는것이다. 

다음 시간에는 아래와 같이 차례대로 알아보도록 할것이다. 

[1](http://ash84.tistory.com/871) [. nexus 를 이용해서 사내 Maven ](http://ash84.tistory.com/871)[Repository 만드는 방법. ](http://ash84.tistory.com/871) 2. 실제 개발된 자바 프로그램을 maven을 이용해서 jar화 하는 방법.


Reference

 – http://www.ibm.com/developerworks/kr/library/tutorial/j-mavenv2/section4.html

#dev  #JAR  #Java  #maven  #메이븐  #빌드  #자바 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