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rt.x) mod-sample 따라하기

2013-05-16

아직까지 vert.x에 대한 자료가 많지는 않은데, 설치 이후에 실제 서버를 돌려보기 위해서는 mod 라는 것을 만들어야 하는데 gradle로 되어 있어서 개발 환경 꾸미기도 쉽지 않은것 같다. 그래도 h elloworld.naver.com에서 vert.x 에 대해서 보고 (최근에 다른 글이 하나 더 올라왔다.) 글 쓰신 분이 운영하시는 블로그에서 mod-sample 라는 것을 만들어 두시고 그것에 대한 사용법을 남겨 주셨다. 


글 제목 : Hello Vert.x module 

vert.x 를 설치하고 나서 모든 세팅이 되었다면 바로 그 글을 보고 실습을 해보면 될것 같은데, 글을 보고 하면서 시행착오를 겪었던 몇가지를 적으면 다음과 같다.(도움이 되라는 마음에.)

1. mk, wmk 에 대해서 

–  나 같은 멍청이가 또 있을까 싶은데, github에 올려주신 것 안에 mkwmk가 있다. wmkmk의 윈도우 버전인데, 역할을 gradle에 대한 사전 작업을 하는것 같다. 필자는 바보같이 이게 어떤 리눅스 혹은 윈도우 명령어인줄 알고 계속 없는 위치에서 테스트를 했는데 그러지 마시길. 

2. log4j 문제. 

– 사실 이것도 나한테만 나는 문제인데, 예전에 만든 서버테스트를 맥에어에서 하다 보니 /jre/ext에 log4j, slf4j를 두었었는데, 이것과 mk 에서 gradle 작업을 할때, 버전 차이로 인한 클래스 없는 문제가 생겨서 계속 exception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 할 수가 있었다. jre/ext에서 문제가 되는 라이브러리를 삭제하면 문제없이 된다. 

맥 혹은 유닉스 환경에서 

./mk tasks ./mk eclipse


이렇게 수행을 하게 되면 이클립스 환경에서 코딩을 하는 개발자라면 import를 통해서 mod-sample 를 프로젝트로 가져올수가 있다. 개인적으로 이 블로그의 자료를 보고  vert.x에서 module에 대한 글을 보니 좀더 이해가 잘 되는것 같다. 


다시 한번 mod-sample 를 만드신 keesun 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mod-sample  #vert.x  #모듈 만들기